과열과 혼탁으로 얼룩진 전국조합장선거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양주 축협이 이번에 선거 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전 조합장의 친.인척 ‘취업특혜’ 논란이 번지고 있다.
현재 검찰에서 조사중인 자칭 '양주축협의 미래를 생각하는 사람들'이란 이름으로 발송된 괴우편물은 ‘조합장 대행‘ ’뒤에서 조정’ ‘전별금 지급 추진‘ ’손자, 손녀, 친인척의 자리보전‘ 등의 자극적 단어를 사용해 폭로성 내용을 담고 있다
괴우편물에 대하여 양주 축협 관계자는 “선거중 특정후보에 대해 악의적인 내용을 유포했고, 반드시 뿌리 뽑히길 바란다”고 말한뒤 괴우편물 내용의 진의를 묻는 질문에 “전 조합장의 친.인척이 계약직 등으로 3~4명 취업중인 것은 사실”로 말했다.
그러나 관계자의 설명과는 인원수에서 차이가 나는, 전 조합장 부인의 친,인척 자녀까지도 일부 포함된 10여명이 넘는 인원이 양주축협에 근무중으로 드러나 ‘취업특혜’ ‘축협사유화 논란’ 파문이 불거져 확산되고 있다.
현재 양주축협은 계약직 직원을 서류전형만으로 채용하고 있는데, 친,인척으로 알려진 직원 상당수가 전 조합장 재임시절 입사하였고 전 조합장의 조카인 A씨는 기능직(운전직) 입사후 2년 뒤에 환직시험을 거쳐 일반관리직(정직원)이 된 이후 계속 승진해 지점장으로 근무중이며, 손자는 계약직으로 입사후 기능직으로 전환되었고, 손녀는 계약직으로 입사해 근무중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전 조합장의 친척 A씨는 “급여도 적은 계약직으로 들어온게 무슨 문제냐?”라는 발언을해 1조7천억 규모의 사업을 진행하는 양주축협의 도덕적 해이와 불감증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게 하고 있다.
이에 양주축협을 주거래 은행으로 삼고 있는 조합원인 K씨는“전 조합장이 친,인척 채용에 관여했는지는 모르지만 친,인척이 여러명 근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충격”으로 표현하며 “1천여명 조합원 모두가 주인인 양주축협이 특정 개인의 권력을 위해 사유물처럼 이용하거나 자신들만을 위한 리그로 여겨서는 안된다고” 일침을 놓았다
한편 양주축협의 상임이사 B씨는 취업특혜 논란에 대해 '인원수를 잘못알고 있었다“고 해명하며 “인사 문제를 포함해 개혁해 나가겠다”고 밝혀 향후 축협의 인사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