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한 ‘2021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우수등급인 2등급을 달성했다. 지난해 3등급에서 1등급 상승한 것이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민권익위원회는 매년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등 전국 700여 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청렴수준 및 부패요인을 측정해 ‘국민권익위의날’(12.9)에 맞춰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도는 지난해 평가에서 3등급을 받은 뒤 취약 분야에 대한 개선대책과 집중교육을 통해 내·외부 평가에서 각각 1등급, 2등급이 상승한 ‘2등급’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도는 1년 만에 우수등급을 탈환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청렴도를 유지하고 있는 지자체임을 입증했다. 도는 우수기관 선정 요인으로 ‘청렴해피콜 상시 점검’을 통해 공사․용역관리, 보조금지원, 비영리단체 인허가 등 다양한 민원업무처리 과정·결과에 대한 개선방안과 미흡부서 상담으로 사후관리를 강화한 점, ‘공익제보 핫라인’ 운영을 통해 부정행위를 차단한 점 등을 꼽았다. 아울러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갑질 근절대책을 추진, 고위공직자(57명)와 전 직원(1,900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청렴교육 실시, ‘갑질 예방의 날’ 운영, 갑질근절 동참 서약, 갑질주
경기도가 2022년도 예산으로 국비 16조 5,605억 원을 확보했다. 도는 지난 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2년도 정부예산 수정안을 분석한 결과 16조 5,605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이는 올해 16조 3,767억 원보다 1,838억 원(1.1%) 늘어난 규모로 역대 최대라고 6일 밝혔다. 여야 국회의원을 가리지 않고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하며 국비 확보 필요성을 호소한 경기도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는 평가다. 정부 예산안에 담긴 경기도 국비 확보 규모는 16조 2,317억 원이었으나 국회 심의과정에서 3,288억 원이 증액됐다. 증액된 3,288억 원은 65개 사업 예산으로 ▲월곶-판교 복선전철 467억 원 등 사회간접자본(SOC) 구축 사업에 1,640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확대 발행 지원 840억 원 등 경제‧일자리 사업에 858억 원 ▲유아교육비 보육료 지원 363억 원 등 문화교육 사업에 384억 원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 212억 원 등 기타 사업에 406억 원이 정부 예산안보다 증가됐다. 2022년 정부 예산안이 의결되기까지 경기도는 주요 사업을 선정·발굴해 지속적으로 중앙부처에 요청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및 국민의힘과 예산정책협의회,
양주시 고읍동에서 옥정지구를 거쳐 포천시를 잇는 지하철 7호선 연장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이 이르면 오는 2022년 상반기부터 설계 작업에 착수할 수 있을 전망이다. 경기도는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이 최근 사업계획 변경에 따른 총사업비 조정 협의를 위해 한국개발연구원(KDI)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은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종점부인 양주 고읍지구에서 포천시 군내면을 연결하는 총 연장 17.2km의 철도를 건설하는 것으로, 경기 북동부지역 도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2019년 1월 「2019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대상사업으로 선정돼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된 이후 2020년 4월부터 기본계획 용역에 착수했다. 이어 올해 2월 최적 기본계획안에 대한 주민공청회 및 설명회를 거쳐 다양한 지역 의견을 수렴했으며, 현재 이를 반영하기 위한 사업계획 변경 및 사업비 증액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를 진행 중이다. 그 일환으로, 기획재정부는 사업계획 변경 및 사업비 증액 내용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한국개발연구원(KDI)로 의뢰, 현재 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